너무 오랜만이라 글을 쓸까 말까 고민일때는... 쓰는게 맞는것같다!
로컬에서 Intellij 로 개발을 하고 있는데 VM 과 친해져야 할것 같기도 하고 Intellij 에서 호스트 연동, 파일 관리 등이 가능하다고 하여 Intellij 에 VM 을 연결해서 원격으로 사용해보려고 한다.
기존에는 putty 와 Filezilla 를 사용했었는데 훨씬 편해질것같다.
연동 작업이 가끔 있는 일이라 까먹을 것같아서 글을 작성해 보기로 했다.!
IntelliJ Version
Deployment 설정
Tools -> Deployment -> Configuration 에 들어가면 Deployment 설정 창이 나온다.
좌측 상단 + 버튼을 누르고 연결할 유형의 프로토콜을 선택한다.
연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SSH configuration 을 추가해준다.
- Host : 연결할 서버의 IP 주소
- Username : 접속할 서버의 사용자 이름
- Authentication type : Password, key pair, OpenSSh config and authentication agent 중 본인의 설정에 맞는 인증 방법을 선택
모두 입력후 Test Connection 을 해보고 Apply 후 OK 한다.
- Root path 는 원격 서버 접속시 어디로 들어갈건지 설정하는 것 같다.
파일모양을 누르면 폴더를 선택하도록 나온다.
나는 /home/ubuntu 에서 작업할 계획이어서 Root path 를 /home/ubuntu 로 잡았다.
- Web server URL 은.. 정확히 모르겠다. 설정 안해도 크게 문제되는건 없는것같다.
- Use Rsync for download/upload/sync 체크박스는 체크하면 Rsync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로컬서버와 원격서버의 파일을 동기화시켜주는것 같다. Rsync 를 설치해야 하는거같아서 패스했다.
- Mapping 탭으로 이동하여 Local path 와 Deployment path(원격서버 경로) 를 입력하고 OK를 눌러준다.
설정을 완료하면 인텔리제이 하단에서 Server 목록이 나온다.
원격 접속 완료!
원격으로 파일 관리하기
원격으로 접속을 하면 우측 상단에 Remote Host 라는 메뉴가 추가된다.
안보인다면 Tools -> Deployment -> Browse Remote Host 를 클릭하면 된다.
Remote Host 를 통해 원격 파일을 읽거나 추가, 삭제를 할 수 있다.
SSH 연결하여 원격 호스트 터미널 접속하기
Tools -> Start SSH Session 을 클릭하면 원격 호스트가 나타나고 터미널이 열린다.
혹은 하단 터미널 내에서 바로 열 수도 있다.
VSCode 에서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했었던것 같은데 IntelliJ 로 넘어오면서 잊고 살았었다.
이제 좀 더 생산적으로 개발을 할 수 있을것 같은 기분이 든다.
짧은 글이지만 정확하게 작성하고 싶은 마음에 생각보다 오래 걸린것 같다.
이렇게 작성을 해야 좀더 명확하게 짚고 넘어갈 수 있게되는것같다.
그동안 OAuth 와 Spring Security 에 대해 공부하느라고 정신이 없었는데
조만간 잊기전에 정리 한번 해야겠다.!!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ssl 적용 (0) | 2023.04.03 |
---|---|
[Linux] 내가 쓴 명령어들 정리 (0) | 2023.03.31 |
AWS CLI S3 에러 : RequestTimeTooSkewed (+ Ubuntu 시간 설정) (0) | 2023.03.27 |
MYSQL 명령어 정리(DML) (0) | 2022.07.02 |
MYSQL 비밀번호 재설정 (0) | 2021.09.27 |
댓글